흔한것처럼 보이지만 멸종위기종인 카너 블루 버터플라이
일반적인 사람들은 카너 블루 버터플라이의 겉모습만 보면 흔하다는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나비는 세계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해있는 나비이며 이를 막기위해 사람들은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멸종위기의 카너 블루 버터플라이의 특징들
평균 나비 크기의 4분의 1 크기를 가지고 있는데 날개를 펴고 있는 이 파란 나비는 뉴욕에서 발견되는 가장 작은 나비 중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하지만 카너 블루의 이 작은 크기는 이미 알려진 것처럼 그것을 과소평가해서는 안되는 멸종위기종으로서 매우 희귀한 나비의 종입니다. 이종들은 뉴욕의 동쪽이 주 서식지로 알려져 있는데 그곳은 아직 야생 나비가 존재하는 곳이며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카너 블루스의 집결지이고 이들은 소나무의 척박하고 탁 트인 사바나지역의 소나무 볼모지들은 이들에게 개방적인 삶을 살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풀, 야생화, 자생 관목과 산재한 터가 트인 나무들의 양지바른 혼합물에서 자라는 가장 중요한 야생화 중 하나인 파인 부시의 모래 토양은 파란색 루핀으로 알려져 있는데 카너 블루 애벌레의 주요 먹이로 알려져 있는데 카너 블루의 멸종위기를 막기 위해서 6만개의 파인 부시의 씨앗을 심었다고도 하며 그래서 이 지역은 카너 블루 버터플라이의 멸종을 막기위해 각국의 생태학자들이 노력을 하고 있으며 목표는 3,000마리정도의 개체수로 복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몇몇 연구에서 야생 루핀과 카르네르 블루나비의 풍부함 사이의 긍정적인 관계가 발견되었지만 이용 가능한 증거는 노화성 야생 루핀이 부족한 애벌레 먹이 공급원이라는 것을 암시하는데 다른 페놀로지 단계의 영향은 더 모호하며 위스콘신 주 중서부에서 카너 블루 나비의 풍부함은 생식 루핀의 풍부함과 부정적으로 연결되었으며 미성숙한 야생 루핀의 빈도와 긍정적인 관련이 있었지만 먹이 실험 결과 1년차 야생 루핀을 먹인 카너 블루 나비는 꽃이 피지 않았거나 꽃이 피지 않았거나 최근에 꽃이 피거나 그늘에서 자라 씨앗이 된 늙은 야생 루핀을 먹인 애벌레보다 생존율이 가장 낮고 유충 지속 기간이 상당히 길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또한 위스콘신과 미네소타의 현장에서는 비생식성 및 생식성 야생 루핀에 대한 1차 비행 배란 사이트의 수가 비슷한것으로 확인된바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다른 요인들이 카르네르 블루 버터플라이의 먹이 자원으로서의 야생 루핀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도 하는데 인디애나 던즈 국립공원에서는 카너 블루 버터플라이 먹이 피해를 입은 야생 루핀이 먹이 피해를 입지 않은 식물보다 잎이 상당히 크고 줄기가 길고 굵었은것으로 확인했으며 게다가 유충의 길이는 위스콘신 중부의 야생 루핀 키와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고 하며 야생 루핀 잎의 질소 농도가 높으면 먹이 실험에서 유충 수명이 현저히 짧아진다는 사실을 알아낸바 있다고 전했습니다. 위스콘신 주 중서부에서는 야생 루핀에 감염된 지역에 비해 곰팡이 감염이 지연된 오크 소나무 불모지에서 훨씬 더 많은 카너 블루 애벌레가 관찰되었지만 곰팡이에 감염된 야생 루핀을 먹인 카너 블루 나비의 먹이 시험 기간 동안 유충 지속 기간이 가장 짧은 치료법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물에 찌든 야생 루핀을 먹인 카너 블루 나비는 애벌레가 꽃을 피우는 야생 루핀을 먹인 유충 씨앗 그늘에서 자란 야생 루핀 곰팡이에 감염된 야생 루핀을 포함한 많은 치료법보다 유충 지속 기간이 상당히 길었던 것으로 확인되며 비록 카너 블루 나비가 개미와의 관계에서 이득을 얻는 것으로 보여졌지만 미시건 알레간 스테이트 게임 지역에서 카너 블루 나비 유충을 가진 야생 루핀은 애벌레가 없는 야생 루핀보다 개미 언덕에 눈에 띄게 가깝지 않았으며 일반나비보다 작은 이 나비의 수컷과 암컷은 생김새가 다른데 수컷의 윗면은 은색 또는 짙은 파란색이며 가장자리는 검은색을 띄며 암컷은 회색빛 갈색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날개 바깥쪽은 파란색이고 검은 테두리 안쪽은 오렌지색의 불규칙한 줄무늬가 있으며 암수 모두 기본적으로 회색을 띄고 있으며 양 날개의 가장자리를 따라 주황색 반점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흰색으로 동그라미를 친 검은 반점이 흩어져 있는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카너 블루 버터플라이와 개미의 공생관계? 그리고 이들의 천적들
거미와 많은 곤충들이 카너 블루 나비의 주요 포식자들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 일곱 점박이 무당벌레는 카너 블루 버터플라이 유충이 확인된 몇 안 되는 포식자들 중 하나이며 종이 말벌 폴리스틴 가시 병정벌레 개미 포미카가 유충을 제거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개미의 모노모리움 에마르긴나툼이 이들의 알을 씹는 것이 포착된적이 있다고 하며 현재 애벌레를 돌보는 같은 개미 종에 의한 애벌레 제거나 알 씹기에 대한 설명은 없으며 그들의 유충이 다른 잠재적 포식자들도 있는데 그들은 녹색 레이스윙 딱정벌레 청새벌레 등이 있습니다. 성체 카너 블루나비의 포식자에는 잠자리 강도파리 매복벌레 및 게거미 등의 거미가 포함되고 있는데 암살자 벌레 또한 성체 카너 블루 나비의 포식자일 가능성이 있는것으로 확인되며 또 다른 포식자로 보이는 것은 흰꼬리사슴과 새들인데 흰꼬리사슴이 야생 루핀을 방목하는 카르네르 블루나비 알 애벌레 번데기를 우연히 잡아먹는 것은 상당할 수 있을것으로 추정되며 말벌은 가장 흔하게 보고된 까르네 블루나비 기생충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타키니드 파리도 카르네르 블루 버터플라이 기생충으로 등록된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중 한 마리는 트리코그라마티스과에 속하고 다른 한 마리는 잠정적으로 카르네르 블루나비알에 기생하는 것으로 의심되는데 카르네르 블루 버터플라이 애벌레는 여러 개미 종과의 자유롭고 상호주의적인 관계로부터 이익을 얻으며 뉴욕의 송이버섯 서식지에서 개미가 돌보는 유충이 보호되지 않은 유충보다 훨씬 더 많이 살아남은것으로 확인되며 카너 블루 버터플라이 유충을 돌보는 19종의 개미들은 이 지역에서 가장 흔한 아과인 포미시카과 미르미시카과 돌리코데리아과의 개미의 종은 애벌레가 얻는 혜택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그것은 위스콘신 및 미네소타의 현장에서는 애벌레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개미 보호율이 크게 증가했으며 카너블루 애벌레도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미세한 털이 나 있으며 다른 실험적인 먹이 처리의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개미가 돌보는 카너 블루 애벌레는 관찰된 애벌레 기간 중 가장 짧았고 루핀 섭취량에 비해 가장 많은 체중이 증가했다는 연구 보고가 있는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세계멸종위기에 있는 나비에 대해 알아봤는데, 곤충들도 포식자로부터 보호를 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쓰며 특히나 오랜시간 변태의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날개를 활짝 피고 자유를 만끽할 수 있는데 각 변태시점에 따라서도 포식자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생존확률이 많이 떨어지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서로 이점을 공유하면서 공생의 관계도 가지는게 참으로 신기할 따름입니다. 이쁘다고 잡고 몸에 좋다고 잡고 무섭다고 잡고 하는 인간이 최대의 천적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출처 Wikipedia